[카테고리:] 드라마

  • 도파민 폭발이라는 게 이런 건가…

    도파민 폭발이라는 게 이런 건가…

    종종 중국 숏폼 드라마에 대해서 들었었다. 한 번 보게 되면 끊을 수 없어서 결국 결제까지 한다는 거다. 전개가 엄청 빠르고 드라마에서 말하는 자극적인 요소들이란 요소들은 모두 등장한다고 한다.

    궁금했지만, 자극적인 요소들이야 뻔하니까. 그리고 내 피드에 뜨지도 않고, 자극적인 중국 드라마는 취향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넘어갔었다.

    그런데, 내가 드디어 이번 주말, 그 도파민이 폭발한다는 드라마를 보게 됐다.

    중국 드라마는 아니고 중국 드라마를 한국인들이 다시 연기한 드라마 ‘안녕, 오빠들’이다.

    진짜 소문처럼 한 번 시작했더니 무료로 공개된 11편까지 빠져들어 보게 됐다. 12편부터는 결제란다. 하지만 결제에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. 요즘 결제한 플랫폼들이 너무 많기도 했고, 결제할 정도로 내가 보고 싶은가를 생각하게 됐기 때문이다. 그래서 그 뒤의 내용은 틱톡에 올라와 있는 짧은 영상들을 보는 것으로 대신했다.

    숏폼 드라마는 무서웠다. 소문처럼 정말 순식간에 빠져들어 보고, 또 비슷한 드라마가 있는지 찾아보게 했다. 이건 나를 그렇게 만들었다는 표현이 맞다.

    어쨌든, 일반 드라마로 치면 20부 정도 되는 내용을 그 중 포인트가 되는 부분들, 반전이 있고 자극이 있는 내용들만 뽑아서 만든 드라마가 같았다.

    부자집에서 잃어버린 여동생 대신 보육원에서 여동생을 입양하고 그 여동생은 세 오빠들의 사랑을 받고 자라는데, 어느 날 친 여동생이 나타나고 가족들은 입양된 여동생을 외면한다. 친 여동생도 오빠들 몰래 입양된 여동생을 괴롭히는데 알고 보니 입양된 여동생이 친 여동생이었다는 내용. 결말은 좀 의외긴 했지만, 이게 숏폼 드라마의 특징 같았다. 엉뚱한 결말도 괜찮은 것.

    숏폼 드라마는 제작비로 1-2억 정도가 사용되고, 촬영 기간은 촬영부터 마무리까지 한 달 내외로 제작된다고 한다. 그렇기 때문에 의외의 결말도 상관없다. 비슷한 내용의 다른 드라마를 만들면 되니까.

    찾아보니, 같은 내용을 한국의 다른 배우들이 연기한 것도 있었다. 한 드라마를 배우만 바꿔 볼 수 있는 것이다. 이것도 매우 흥미로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. 같은 내용의 드라마인데 내가 배우나 드라마의 분위기를 보고 원하는 것을 선택해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. ‘폭싹 속았수다’를 아이유가 아닌 박보영이, 박보검이 아닌 추영우가 연기한 버전을 볼 수 있는 것이다.

    물론 숏폼은 제작 비용 때문에 유명한 배우를 쓰기는 힘들겠지만, 이렇게 숏폼 드라마만 찍은 배우가 나타난다면, 또 다른 영역을 차지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. 오랜 시간 이것 저것 덕질을 해 온 나의 촉이 그렇다.

    아무튼, 숏폼 드라마는 웹툰, 웹소설의 실사판 같다. 매우 흥미로웠고, 앞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큰 시장인 것 같다. 숏폼 드라마 시장이 가장 큰 곳이 미국이라는 점도 매우 흥미로웠다.

    하지만 지금 내가 빠져들기에는 좀…. 보고 싶은 콘텐츠가 그렇게 많진 않다.

  • 나는 <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>를 왜 봤을까

    나는 <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>를 왜 봤을까

    KBS 주말 드라마는 시청률이 높다. 항상 그래왔던 거 같다. 내용이 어떻든 간에 고정 시청층이 있다.

    그래서 못 나와도 20% 정도의 시청률이 늘 나온다고 한다.

    나도 그 시간이 되면 습관처럼 봤던 거 같다. 평소 TV를 켜 놓고 생활하는 편인데, 그 시간에는 대부분 KBS 드라마를 틀어놨던 거 같다.

    <독수리 5형제를 부탁해>라는 드라마를 처음부터 꾸준히 본 건 아니다.

    종영한 어제까지, 하면 하는가 보다 하고 습관처럼 틀어 놓고 아무 생각 없이 봤던 게 대부분이다.

    그러다 문득, 이런 드라마가 오랜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.

    어떻게 보면 올드하다고 생각되는 전개와 분위기지만 이런 소소한 일상 내용이 정말 오랜만이었다.

    살인, 폭행, 집착, 열렬한 사랑 등 자극적이지 않은, 그냥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드라마, 그래서 습관처럼 틀어 놓고 힘 빼고 아무 생각 없이 봤나 보다.

    자극적인 드라마는 아무래도 집중해서 힘주고 보게 되니까 말이다.

    또 한 편으론 특별한 이벤트 없는, 그냥 소소한 일들이 벌어지는 그런 일상, 이게 우리 일상이지 뭐…하는 생각이 들었다.

    물론 요즘은 드라마처럼 대가족이 함께 부딪히면서 생활하는 일이 오히려 흔하지 않은 일상이 됐다.

    말 그대로 대가족의 모습이 일상이 아닌 드라마 속 이야기가 된 것이다.

    그래도 나는 조금은 옛날 사람이니까, 그랬던 적이 기억에 있으니까 이 드라마를 나름 편안하고 재밌게 봤던 거 같다.

    형수와 네 명의 시동생들이 남매처럼 지낸다는 다소 억지스러운 설정도 있었지만, 그래도 뭐 드라마니까…하고 넘기면서 볼 정도의 드라마,

    요즘 말로 밥 친구 정도의 드라마였던 거 같다.